반응형
"이사비가 부담돼 이사를 망설이시나요?"
서울시가 무주택 청년에게 최대 40만원까지 실비를 지원해주는 정책을 2025년에도 이어갑니다.
특히 전세사기 피해자, 청소년 부모, 자립준비청년 등 주거 취약 청년에게는 우선 선발 혜택도 주어지는데요.
이사 계획이 있으신 서울 청년이라면 지금 바로 신청하세요!
놓치기엔 너무 아까운 기회입니다.
✅ 서울시 청년 이사비 & 중개보수 지원이란?
서울시는 주거 환경이 열악하고 이사가 잦은 청년들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
이사비용과 부동산 중개보수를 지원하는 정책을 운영하고 있어요.
이 정책은 2022년부터 시작되어 지금까지 1만7천여 명의 청년이 평균 30만 원의 지원을 받았답니다.
2025년에는 총 1만 명 모집! (상반기 6천 명, 하반기 4천 명)
지금은 상반기 접수 기간(4/1~4/14)이에요!
🎯 지원 대상은 누구?
다음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 신청 가능해요.
조건 내용
나이 | 만 19~39세 (1985.1.1 ~ 2006.12.31 출생자) |
거주지 | 서울시에 거주 & 2023년 1월 1일 이후 서울시로 전입 또는 이사 |
주택 조건 | 전월세 거래금액 2억 원 이하 |
소득 | 가구 중위소득 150% 이하 (1인 가구 기준 월 358만9천 원 이하) |
무주택 여부 | 신청자 본인이 무주택자여야 함 |
같이 사는 동거인이 있어도 OK!
단, 신청자 본인이 세대주 + 임차인이어야 해요.
💰 얼마나, 어떻게 지원해주나요?
- 지원금액: 1인 최대 40만 원 (생애 1회 지원)
- 지원항목:
① 부동산 중개보수
② 이사비용
※ 둘 다 신청 가능하며 실제 소요된 비용만큼 실비로 지원
📌 신청 방법
- 신청 기간: 2025년 4월 1일(월) 오전 10시 ~ 4월 14일(일) 오후 6시
- 신청 방법: 청년몽땅정보통 온라인 접수
- 제출 서류: 주민등록등본, 임대차계약서, 이사비 또는 중개보수 영수증 등
✅ 청년몽땅정보통 바로가기
신청은 선착순이 아니라 자격 요건 충족 + 우선순위 기준으로 선정됩니다!
🎯 이런 분은 우선 선정 대상자!
다음 항목 중 하나라도 해당되면 우선 선정 가능성 UP!
- 전세사기 피해 청년 (피해자 인정된 경우 포함)
- 자립준비청년 (보호 종료 5년 → 만 39세까지 확대)
- 가족돌봄청년
- 청소년 부모
- (반)지하·옥탑방·고시원 거주 청년
- 장애인, 한부모 가정, 다문화 가정, 북한이탈주민, 국가보훈대상자 등
❌ 신청이 불가능한 경우
- 부모 소유 주택을 임차한 경우
- 국민기초생활수급자 중 생계·의료·주거급여 수급자
- 이미 타 기관에서 동일한 지원(이사비/중개보수)을 받은 경우
- 주택 보유자
📞 문의는 여기로!
- 콜센터: 1877-9358
- 청년몽땅정보통 Q&A 게시판: 홈페이지 내 확인 가능
💡 정리하면…
항목 내용
모집 인원 | 총 10,000명 (상반기 6,000명) |
지원 금액 | 최대 40만 원 실비 지원 |
신청 기간 | 2025.04.01 ~ 2025.04.14 |
신청 방법 | 청년몽땅정보통 온라인 신청 |
✨ 이 글을 읽은 당신에게 묻습니다
이사 계획이 있으신가요?
혹은 주거비 때문에 고민하고 계신가요?
이 정책 하나로 최대 40만 원까지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.
청년 시절에만 받을 수 있는 혜택, 이번 기회를 꼭 잡으세요!
👉 신청하러 가기
👉 [주변 청년에게 공유하기] 카카오톡, 페이스북, 인스타그램에 퍼가도 좋아요!
🔗 관련 글 추천
반응형
댓글